• 주거서비스 관련 연구 용역 총괄
• KHSS 각 위원회 연계를 통한 한국형 주거서비스 관련 연구 활성화
• 국내외 유관단체 간의 네트워크 구축
• 주거서비스 제도화 필요성 부분 의견 수렴
• 공공 및 민간기반이 참여할 수 있는 주거서비스 산업 활성화 및 지속성 논의
ㆍ주거서비스 산업 이해당사자들의 주거서비스에 대한 전체적인 매커니즘을 이해할 수 있는 자료 등 정보 공유
ㆍ주거서비스 산업 관련 정치적·정책적 이슈에 대한 전략적인 논의를 통해 공감대 형성 및 당위성, 필요성 제고
ㆍ정부, 지자체 및 공공기관으로부터 수탁 연구를 통한 정책 제도·개발
• 주거서비스 전문교육 기관으로 KHSS 인지도 확산
• 교육과 연수로 '주거안정과 주거수준 향상을 위한 주거서비스'의 이해 증진 그리고 현장 접목으로 살기 좋은 주거환경 조성 기여
ㆍ주거서비스 교육 컨텐츠 개발 및 주거복지사 보수교육 교재 개발
ㆍ주택건설사 및 공사 대상 주거서비스 교육 프로그램 기획 및 시행
• 주거서비스 정책 발굴 전문기관인 KHSS 인지도 확산
• '한국형 주거서비스 정책' 발굴 위한 인적 네트워크 구축기반 조성
ㆍ현행 법제도에 명시된 주거서비스 활동영역 검토 및 확장과 주거서비스 정책 선진화를 위한 민관 참여 포럼 구성 및 운영을 위한 인적 교류망 구축
ㆍ'한국형 주거서비스 정책' 발굴을 위한 지역별, 분야별 전문가 그룹운영
• '한국 주거서비스 정책'의 유형화와 제도 발굴 및 정착 노력 강화
ㆍ주거서비스 프로그램 분석 및 도입, 제도화에 필요한 정책과제 발굴
ㆍ주거서비스 내용의 제도화 기반조성 및 討論의 場 개최 활성화
• 소사이어티에 관심이 있는 지역단체를 중심으로 위원회 구성
• 지자체, 기관 및 관심 있는 지역단체를 중심으로 주거서비스에 관심있는 지자체를 발굴하고 협의를 통해 토크쇼 내지는 세미나 개최
ㆍ지역내 관련 단체 참영도 및 주거서비스 논의 확산
• 주거서비스산업 활성화 기반 조성
ㆍ주거서비스산업 구조 및 체계 정립가 활성화를 위한 제도 및 정책 발굴
ㆍ주거서비스 모델 발굴과 주거서비스산업 참여자 간 연계 및 정보 교환을 위한 시스템 구축 방안(KHSS 역할 및 사업 발굴)
• 연구완료된 주거서비스 NCS 체계 설정(안)에 대해 산학연관 의견수렴으로 조정하여 확정
• 뉴스테이의 주거서비스 평가항목 검토 및 조정 연구
ㆍ뉴스테이의 주거서비스 평가항목을 NCS상의 재중소분류 상에서 항목 적정성 검토 및 조정안을 제시함
• 홍보·정보 기능 도입 기반 구축
ㆍ주거서비스 과님 언론 등 매체와의 교류를 위한 협의체 구성
ㆍ홈페이지 관리, 소식지(정보지) 발간 기획 및 협의체 구성
• 유관기관과의 유기적 관계정립과 교류
ㆍ주거서비스관련기관과의 관계정립과 협의체 구성
ㆍ교육 및 자격증, 공동사업, 학술대회 제도화
ㆍ연구프로젝트, 컨설팅 추진
• 주거서비스 제도화 필요성 부분 의견 수렴